본문 바로가기
보험론

한국 보험의 발달

by 꿀보다 꿀팁 2023. 8. 12.
반응형

우리나라에서 보험은 1870년대 이후 조선이 대외적으로 문호를 개방하여 선진국들의 기업이 국내에 진출하면서 거래되기 시작하였다. 교역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보험의 수요는 점증하였으나 국내에는 보험회사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외국보험회사의 대리점이 설립되어 보험거래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영국 보험회사의 대리점이 주축을 이루었으며 일본의 여러 보험회사의 대리점도 진출하였다. 

영국 보험회사의 대리점은 1900년경에 4개의 보험회사가 우리나라에 영업을 시작하였고, 독일 보험회사의 대리점도 있었다. 일본의 동경해상보험은 1880년에 처음으로 부산에 대리점을 설치하였다. 그 후 1890년대에 일본 화재, 메이지 화재가 부산과 인천에 각각 대리점을 설치하였고, 제국 생명은 처음으로 생명보험 대리점을 부산에 설치하였으며 그 후 여러 생명보험대리점이 각 지방에 설치되었다. 일본의 식민 통치 아래에 있었던 시기를 전후하여 우리나라는 신설되는 많은 일본 보험회사의 시장이 되었다. 1910년 한일합병 이후 일본 보험회사의 활동은 더욱 두드러졌으며 1914년에 경성 생명 보험 동업 회사 조직되었다. 

제 1차 세계대전이우 우리나라에서 모든 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됨에 따라 국내에 보험회사를 설립하게 되었다. 1921년에 조선 생명보험주식회사가 설립되었고 그다음 해에 조선 화재해상보험주식회사가 발족하였다. 

조선생명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대주주가 되었으며 오랫동안 영업을 하다가 6·25 동란으로 영업을 중지하였고 1955년 한국 생명보험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고 재기하려고 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조선 화재 해상은 조선은행, 조선식산은행 등이 대주주가 되어 설립된 회사였다. 따라서 이 회사는 일본계 보험회사로서 8·15 광복까지 영업을 계속하다가 미군정 하의 귀속재산이 된 후 상호를 동양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로 개칭하여 지금까지 사업을 계속하고 있다. 

식민 통치 아래서 재산보험시장은 화재보험이 중심이 되었고, 해상보험은 쌀을 주로 하는 적하보험의 비중이 컸다. 그 밖에 신용보험, 자동차보험, 도난보험 등이 있었으나 규모는 매우 작았다. 생명보험은 개인보험이 주가 되었으며 조선생명의 영업 규모는 크지 못했다. 1929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이 주고 나한 간이생명보험이 생겼다. 1930년대 국내에 지점 또는 대리점을 설치한 생명보험 회사는 19개 사, 재산/책임 보험회사는 16개 사였다.

1945년 독립과 함께 조선 화재를 비롯하여 일본보험회사의 국내 지점들은 군정청의 관리를 받게 되었다. 국내의 화재해상보험회사들이 1946년부터 설립되기 시작했다. 생명보험회사도 조선생명 이외에 새로운 회사들이 1946년부터 설립되기 지적했다.

6·25 동란을 거치며 그 이후 상당한 기간 보험사업은 침체 또는 휴업상태에 있었고 화재보험만 취급하던 국내회사들이 해상보험의 인가를 받고 또한 해상보험을 위한 신규회사들이 1950년대에 설립되었다. 생명보험 분야는 1950년대 중반부터 서서히 사업을 재기하였으며 여러 개의 신규회사가 계속하여 설립되었다. 그러나 사업의 규모는 아직 미미한 상태였다.

1960년대에 진입하여 보험사업은 성장의 기틀을 마련하기 시작하였다. 5·16 쿠데타 이후 1962년에 보험업법이 제정되고 경제개발을 위한 자원 동원의 수간으로 생명보험 사업을 육성하도록 하였으며, 재산/책임보험이 분야에서도 산업의 구조를 정비하기 시작하였다. 국영 대한 손해 재보험회사가 1963년 원수 보험사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설립되어 해외 재보험을 독점하였다. 이 회사는 1978년에 완전히 민영화되었다. 자동차보험은 한국자동차보험 고 영화가 발족하였고 1963년에 자동차 손해배상 보험법이 제정되어 성장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전업회사로서는 대한 보증보험주식회사가 1969년에 설립되어 현재까지 보증보험을 독점 판매하고 있다. 이 밖에도 재산/책임보험 분야에서 경제발전과 무역의 증대에 따라 다양한 보험상품들이 개발되었다. 

우리나라의 보험산업은 1960년대 이후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급속한 양적 성장을 하였다. 이러한 양적 성장은 경제성장과 더불어 정부의 육성정책에 많은 힘을 얻었으며 보험산업의 경영 노력도 주요한 요인의 하나다. 우리나라의 보험 역사는 비교적 짧으나 비교적 빠른 성장을 하였으며 앞으로도 양적 질적 성장이 크게 기대되고 있다. 

반응형

'보험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험의 기본원리  (0) 2023.08.13
보험의 종류  (0) 2023.08.12
보험 구성 요소  (0) 2023.08.11
보험의 대상  (0) 2023.08.10
보험의 개요  (0) 2023.08.09